[김시종]생존자라는 존재[광주시편 추가]
김시종, 김정례옮김, 광주시편>, 푸른역사, 2014. 시를 쓴다는 것 광주시편>에서 김시종은 광주, 오월이라는 말을 2부에 들어서 뼈>(pp.36-38)라는 시에서 처음으로 언급한다. 니이가타>가 제주, 4・3 사건에 대해 말하고 있는지 알 수 없듯이 광주시편>에서 우리는 80년 5・18사건에 대해 이 시집이 언급하고 있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왜냐하면 김시종은 5・18에 대해 직접 기록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가 하는 일은 역사를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시를 쓰는 것이다. 시는 영산강 주변 바람조차 맴도는 어느 부근에서 우리를 멈추게 하다.(바람>,p.15.) 하지만 그 바람은 잔잔한 바람이 아니고 말하지 못하는 누군가들을, 사건들을, 대신하는 몸짓, 몸부림이다. 바람이 뒤에서 불고 우리의 어깨..
[김시종]피해와 가해의 이분법을 넘어서, 생존자
김시종, 김정례옮김, 광주시편>, 푸른역사, 2014. 시를 쓴다는 것 광주시편>에서 김시종은 광주, 오월이라는 말을 2부에 들어서 뼈>(pp.36-38)라는 시에서 처음으로 언급한다. 니이가타>가 제주, 4・3 사건에 대해 말하고 있는지 알 수 없듯이 광주시편>에서 우리는 80년 5・18사건에 대해 이 시집이 언급하고 있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왜냐하면 김시종은 5・18에 대해 직접 기록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가 하는 일은 역사를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시를 쓰는 것이다. 시는 영산강 주변 바람조차 맴도는 어느 부근에서 우리를 멈추게 하다.(바람>,p.15.) 하지만 그 바람은 잔잔한 바람이 아니고 말하지 못하는 누군가들을, 사건들을, 대신하는 몸짓, 몸부림이다. 바람이 뒤에서 불고 우리의 어..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나는 무엇을, 어떻게, 왜 기억하려 하는가.
마르셀 프루스트, 김창석 옮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1』, 국일미디어, 1998. *나는 무엇을, 어떻게, 왜 기억하려 하는가. 성인 화자인 나는 흘러간 옛 우리 집의 생활, 콩브레에 있는 대고모 댁, 발베크, 파리, 동시에르, 베네치아, 그 밖의 고장에서 생활을 회상하며 밤의 대부분을 보내고 있다.(15) 그리고 화자는 내가 어디 있는지, 내가 누구인지 조차 아리송할 때 추억이 구원한다고 말한다.(10) 그에게 사물 뿐 아니라 나라는 부동성과 그 부동성에 대한 확신은 우리 사고의 부동성(11) 이며, 감각을 둔하게 만드는 습관이 만들어낸 것이다.(17) 오히려 사물이나 나는 불확실한 것들의 수면 위에 있다. 달리는 말을 구경하면서 영사기가 나타내보이는 연속적인 자태를 실제로 분리해서 판별할 수 없는..
[전쟁의 슬픔]거대서사가 새긴 상흔의 신체
바오 닌, 하재홍 옮김, 전쟁의 슬픔>, 아시아, 2017. 조너선 닐의 미국의 베트남 전쟁>을 읽으면서 가장 흥미로웠던 부분은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근에 관한 부분이었다. 베트남 전쟁 후 미국 병사들에게 국가는 집단적 신경정신심리 상담을 진행한다. 그 과정을 통하여 미국 병사들에게 일정한 훈육이 수행된다. 미국 병사들은 베트남 전쟁 중 일어난 사건을 끊임없이 되살려야하고, 그 사건 안에서 자신의 문제를 고백해야 하며, 그것을 반성해야 한다. 이 고해성사 같은 치료 속에서 가장 신경이 거슬렸던 부분은 전쟁의 사건을 병사 개인의 문제로, ‘나’로 수렴하게끔 유도하던 지점이었다. 물론 전쟁의 원인이, 갖은 자, 배운 자에게 있지 않은가하는 병사의 말에 동의하였고, 그러나 그것만이 전부는 아니었다. 전쟁의..